안녕하세요. 


이번시간에는 R1에서 소프트웨어 연결하는 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용하시는 앰프 군에 따라서 필요한 장비가 다릅니다.

현재 가지고 계신 앰프가 D6, E-PAC, D12 (이하 구형앰프) 라면, 

네트워크로 연결을 도와주는 인터페이스 (R60 혹은 R70) 가 필요 합니다.


R60은 구형 앰프의 통신 프로토콜인 CAN을 USB 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장치이고

R70은 구형 앰프의 통신 프로토콜인 CAN을 Network 형식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장치 입니다.


인터페이스 선택은 용도에 맞게 하시면 되지만, 

최신 방식의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유 무선 방식을 컨트롤을 하고 싶으시면

R70을 선택하시는것이 유리합니다. 


그러나 최신 앰프 (10D, 30D, D20, D80)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별도의 네트워크용 인터페이스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여기에서는 두 가지 방식을 모두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는 구형 앰프 (E-PAC, D6, D12) 인 경우 입니다. 


우선은 인터페이스를 컨트롤 하려는 PC 에 연결해야 합니다.


R60은 USB로 연결 한 후 USB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합니다.

USB 드라이버 다운 및 설치 방법은 여기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R70의 경우에는 네트워크에 연결하기만 하면 됩니다. 

R70의 기본 네트워크 IP192.168.1.70 입니다. 그러나 설정 전에 DHCP 서버 (예, 유무선 공유기)에 연결하면

해당 서버 혹은 유무선 공유기가 R70의 IP를 자동으로 바꿉니다. 자동으로 바뀐 IP를 찾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연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제 본격적인 Online을 위해 R60 혹은 R70을 컴퓨터에 연결하고 R1을 실행 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창이 열립니다.



처음에 보면 R1 상단에 있는 Online 버튼이 비활성화 되어 있습니다.

이것의 의미는 인터페이스 선택이 되어 있지 않아 연결이 불가함을 의미 합니다. 

 

연결을 위해서는 위의 그림에서 붉은 색으로 표시된 Service를 클릭 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창이 등장 합니다. 



여기 보면 Online 버튼이 비활성화 된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크게는 두 가지 이유 입니다.

1. Interface에서 아무것도 활성화 체크가 되어 있지 않다.

2. R70이 제대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R70와 관련된 Status붉은 색으로 표시 된다면 네트워크 설정이 잘못 된 것입니다.

즉 사용하시는 PC와 R70이 제대로 연결이 안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Port란에는 현재 연결 시도하려는 R70의 IP 주소가 나타납니다.

이것을 참고해서 연결하시면 되는데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여러 종류의 R70을 사용하시는 경우라면, 이전에 사용한 R70의 IP가 표시될 수도 있습니다.


R70 네트워크 설정을 제대로 확인하면 Status 창은 붉은색에서 녹색으로 바뀌고 

Active 체크 하여 Online 버튼을 누를 수 있습니다. 




위 사진과 같이 보인다면 R70이 제대로 셋팅 된 것입니다. 



두번째로는 최신 앰프들을 R1에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이것들은 상대적으로 쉬운 편입니다만 한가지만 확인하시면 됩니다.


Online 버튼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는경우

위에서 말씀드린 서비스 탭으로 들어오면 아래의 그림과 같습니다.



여기에서 OCA의 Active를 클릭하시면 상단의 Online 버튼활성화 되고 앰프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 여기까지 R1 Online 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 Recent posts